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는 2013년에 개최된 e스포츠 대회로, 총 14개 팀이 참가하여 이전 대회보다 규모가 확대되었다. 중국, 대한민국, 북미, 대만/홍콩/마카오 지역의 상위 팀들이 8강에 직행했으며, 나머지 팀들은 그룹 스테이지를 거쳐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SK 텔레콤 T1 K가 로열 클럽을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총 상금은 205만 달러였다. 이 대회는 트위치를 통해 3,200만 명 이상이 시청하여 e스포츠 역사상 최고 시청자 수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에서 개최된 국제 e스포츠 대회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2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2는 라이엇 게임즈의 투자 확대로 2012년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되었으며, 12개 팀이 참가하여 타이페이 어쌔신이 아주부 프로스트를 꺾고 우승했으나, 경기 형식과 부정행위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 미국에서 개최된 국제 e스포츠 대회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7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7은 다양한 PC 및 Xbox 360 게임을 종목으로 전 세계 게이머들이 참여한 국제적인 e스포츠 대회로, 대한민국 선수들이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1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1은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되어 에드워드 게이밍이 담원 기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베트남 팀이 불참하고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7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7은 중국에서 24개 팀이 참가하여 총 상금 460만 달러를 놓고 경쟁한 e스포츠 대회로, 삼성 갤럭시가 SK 텔레콤 T1을 꺾고 우승했으며 대회 주제가는 "Legends Never Die"였다. - E스포츠에 관한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은 2001년에 개최된 e스포츠 대회이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등 여러 게임이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임요환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E스포츠에 관한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 | |
---|---|
기본 정보 | |
대회 명칭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
연도 | 2013년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주관 | 라이엇 게임즈 |
게임 버전 | 3.11 |
개최 기간 | 2013년 9월 15일 ~ 2013년 10월 4일 |
개최지 | 미국 |
경기 장소 수 | 3 (개최 도시 1개) |
참가 팀 수 | 14 |
경기 수 | 63 |
총 상금 | 2,050,000 달러 |
이전 대회 | 2012 |
다음 대회 | 2014 |
![]() | |
경기 결과 | |
우승 | SK 텔레콤 T1 |
준우승 | 로열 클럽 |
대회 방식 | |
토너먼트 형식 | 10팀 라운드 로빈 그룹 스테이지 / 8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
2. 대회 방식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에는 전년도 대회(12팀)보다 규모가 확대되어 총 14개 팀이 참가했다. 새롭게 국제 와일드카드(International Wildcard) 제도가 신설되어 브라질, 터키, 독립국가연합,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지역 팀들에게도 참가 기회가 주어졌다.
2013년 상하이 올스타전 상위 4개 지역인 중국, 대한민국, 북미, 그리고 대만/홍콩/마카오의 시드 1위 4개 팀은 8강에 직행했다.[1]
지역 | 경로 | 팀 | ID |
---|---|---|---|
플레이오프 스테이지 시작 | |||
중국 | 중국 지역 결승전 우승 | 로열 클럽(Star Horn Royal Club) | RYL |
북미 | NA LCS 서머 챔피언 | 클라우드9(Cloud9) | C9 |
대한민국 | 최다 챔피언십 포인트 #1 | 나진 블랙 소드 | NJS |
대만/홍콩/마카오 | 대만/홍콩/마카오 지역 결승전 우승 | 가마니아 베어스 | GAB |
그룹 스테이지 시작 | |||
중국 | 중국 지역 결승전 준우승 | OMG(Oh My God) | OMG |
유럽 | EU LCS 서머 챔피언 | 프나틱 | FNC |
EU LCS 서머 준우승 | 레몬독스 | LD | |
EU LCS 서머 3위 | 갬빗 게이밍 | GMB | |
북미 | NA LCS 서머 준우승 | Team SoloMid(TSM) | TSM |
NA LCS 서머 3위 | Team Vulcun | VUL | |
대한민국 | 최다 챔피언십 포인트 #2 | 삼성 오존 (Samsung Ozone) | SSO |
대한민국 지역 결승전 우승 | SK 텔레콤 T1 K | SKT | |
동남아시아 | 동남아시아 지역 결승전 우승 | Mineski | MSK |
독립 국가 연합►와일드카드 | 지역 독립 국가 연합 챔피언십 ►국제 와일드카드 토너먼트(IWCT) 우승 | 게이밍기어.EU | GG |
2. 1. 참가팀 선정 방식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에는 14개 팀이 참가했다. 대한민국, 중국, 북미, 대만/홍콩/마카오 지역의 서킷 포인트 1위 4개 팀은 8강에 직행했다. 나머지 10개 팀은 그룹 스테이지부터 시작했으며, 5개 팀씩 2개 조로 나누어 더블 라운드 로빈(각 팀이 서로 두 번씩 경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했다. 같은 지역의 팀은 같은 그룹에 속할 수 없도록 시드를 기준으로 배정되었으나, 유럽의 3번 시드인 갬빗 게이밍은 예외였다.A조에서는 Oh My God와 SK 텔레콤 T1 K가 각각 7승 1패로 8강에 진출했고, B조에서는 Fnatic이 7승 1패, Gambit Gaming이 6승 3패로 8강에 진출했다.
2. 2. 경기 방식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는 각 조 5팀씩 2개 조로 나누어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그룹 스테이지를 진행하였고, 각 조 상위 두 팀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결승 토너먼트는 상위 시드를 받은 4팀과 그룹 스테이지에서 올라온 4팀이 경기를 치렀으며, 8강전은 3전 2선승제, 준결승부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자동 진출팀은 조별 예선에서 올라온 팀과 대진이 결정되었으며, 같은 조에 속한 팀들은 결승전 전까지 서로 대결할 수 없도록 토너먼트 반대편에 배치되었다.
3. 참가 팀
총 14개 팀이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에 참가했다. 2013년 상하이 올스타전 상위 4개 지역인 중국, 대한민국, 북미, 그리고 대만/홍콩/마카오의 시드 1위 팀들은 8강에 직행했다.[1] 나머지 10개 팀은 그룹 스테이지부터 시작했다.
;8강 직행 팀
대한민국 지역 서킷 포인트 1위팀인 나진 블랙 소드(NJS), 북미 지역 선발전 우승팀인 클라우드9(C9), 중국 지역 선발전 우승팀인 로열 클럽 황주(RYL), 대만/홍콩/마카오 지역 선발전 우승팀인 감마니아 베어스(GAB)가 8강에 직행하였다.
;그룹 스테이지 참가 팀
팀 | 약칭 | 지역 | 자격 | 시드 풀 |
---|---|---|---|---|
삼성 갤럭시 오존 | SSO | KR | 대한민국 지역 서킷 포인트 2위 | 2 |
SK 텔레콤 T1 K | SKT | 대한민국 지역 선발전 우승 | 3 | |
팀 솔로미드 | TSM | NA | 북미 지역 선발전 준우승 | 2 |
팀 벌컨 | VUL | 북미 지역 선발전 3위 | 3 | |
프나틱 | FNC | EU | 유럽 지역 선발전 우승 | 1 |
레몬독스 | LD | 유럽 지역 선발전 준우승 | 2 | |
GMB | 유럽 지역 선발전 3위 | 3 | ||
OMG | CN | 중국 지역 선발전 준우승 | 2 | |
미네스키 | MSK | SEA | 동남아시아 지역 선발전 우승 | 1 |
게이밍기어.EU | GG | IWC | 국제 와일드카드 선발전 우승 | 1 |
3. 1. 8강 직행 팀
대한민국 지역 서킷 포인트 1위팀인 나진 블랙 소드(NJS), 북미 지역 선발전 우승팀인 클라우드9(C9), 중국 지역 선발전 우승팀인 로열 클럽 황주(RYL), 대만/홍콩/마카오 지역 선발전 우승팀인 감마니아 베어스(GAB)가 8강에 직행하였다.3. 2. 그룹 스테이지 참가 팀
wikitable팀 | 약칭 | 지역 | 자격 | 시드 풀 |
---|---|---|---|---|
삼성 갤럭시 오존 | SSO | KR | 대한민국 지역 서킷 포인트 2위 | 2 |
SK 텔레콤 T1 K | SKT | 대한민국 지역 선발전 우승 | 3 | |
팀 솔로미드 | TSM | NA | 북미 지역 선발전 준우승 | 2 |
팀 벌컨 | VUL | 북미 지역 선발전 3위 | 3 | |
프나틱 | FNC | EU | 유럽 지역 선발전 우승 | 1 |
레몬독스 | LD | 유럽 지역 선발전 준우승 | 2 | |
갬빗 게이밍 | GMB | 유럽 지역 선발전 3위 | 3 | |
오 마이 갓 | OMG | CN | 중국 지역 선발전 준우승 | 2 |
미네스키 | MSK | SEA | 동남아시아 지역 선발전 우승 | 1 |
게이밍기어.eu | GG | IWC | 국제 와일드카드 선발전 우승 | 1 |
4. 경기 장소
그룹 스테이지 및 8강 경기는 미국 컬버시티에 위치한 컬버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2] 수용 인원은 1,500명이다.
준결승 경기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갈렌 센터에서 열렸다.[2] 갤런 센터의 수용 인원은 10,258명이다.
결승전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열렸으며, 수용 인원은 20,000명이었다.[2]
4. 1. 그룹 스테이지 및 8강
그룹 스테이지 및 8강 경기는 미국 컬버시티에 위치한 컬버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2] 수용 인원은 1,500명이다.
4. 2. 준결승
준결승 경기는 로스앤젤레스 갤런 센터에서 열렸다.[2] 갤런 센터의 수용 인원은 10,258명이다.4. 3. 결승
결승전은 로스앤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열렸으며, 수용 인원은 20,000명이었다.[2]
5. 그룹 스테이지 결과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의 그룹 스테이지는 각 조 5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팀은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모든 경기는 단판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 상위 2팀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하고, 하위 3팀은 탈락했다.
A조에서는 SK 텔레콤 T1과 OMG가 각각 7승 1패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두 팀은 서로 한 번씩 승리하며 대등한 경기를 펼쳤다. 레몬독스는 3승 5패, 팀 솔로미드는 2승 6패, 게이밍기어.eu는 1승 7패로 탈락했다.
팀 | 경기 | 승 | 패 | 결과 | 비고 |
---|---|---|---|---|---|
SK 텔레콤 T1 | 8 | 7 | 1 | 결승 토너먼트 | vs OMG 1승 1패 |
오 마이 갓 | 8 | 7 | 1 | vs SKT 1승 1패 | |
레몬독스 | 8 | 3 | 5 | 탈락 | |
팀 솔로미드 | 8 | 2 | 6 | ||
게이밍기어.eu | 8 | 1 | 7 |
B조에서는 프나틱이 7승 1패로 1위를 차지했고, 갬빗 게이밍이 6승 3패로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삼성 갤럭시 오존은 5승 4패로 3위를 기록, 아쉽게 탈락했다. 팀 벌컨은 3승 5패, 미네스키는 0승 8패로 탈락했다. 특히 갬빗 게이밍과 삼성 갤럭시 오존은 5승 4패 동률이었으나, 순위 결정전에서 갬빗 게이밍이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팀 | 경기 | 승 | 패 | 결과 | 비고 |
---|---|---|---|---|---|
프나틱 | 8 | 7 | 1 | 결승 토너먼트 | |
갬빗 게이밍 | 9 | 6 | 3 | vs SSO 2승 1패 | |
삼성 갤럭시 오존 | 9 | 5 | 4 | 탈락 | vs GMB 1승 2패 |
팀 벌컨 | 8 | 3 | 5 | ||
미네스키 | 8 | 0 | 8 |
6. 결승 토너먼트
8강전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8개 팀이 8강에 진출했으며, 조별 예선에서 올라온 팀과 자동 진출팀이 대진이 결정되었다. 같은 조에 속했던 팀들은 결승전 전까지 서로 대결하지 않도록 토너먼트 반대편에 배치되었다.
9월 23일에는 프나틱()이 클라우드9()을 2:1로, 나진 블랙 소드()가 갬빗 게이밍()을 2:1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특히, 나진 블랙 소드는 갬빗 게이밍을 상대로 명승부를 펼쳤다. 9월 24일에는 SK 텔레콤 T1()이 감마니아 베어스()를 2:0으로, 로열 클럽 황주()이 오 마이 갓()을 2: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대 진 표 | 세트 결과 | 일 정 | |||||
---|---|---|---|---|---|---|---|
결승 토너먼트 직행팀 | 스코어 | 그룹 스테이지 통과팀 | 1세트 | 2세트 | 3세트 | ||
클라우드9 | 1 | 2 | 프나틱 | FNC | C9 | FNC | 2013년 9월 23일 |
나진 블랙 소드 | 2 | 1 | 갬빗 게이밍 | GMB | NJS | NJS | |
감마니아 베어스 | 0 | 2 | SK 텔레콤 T1 | SKT | SKT | X | 2013년 9월 24일 |
로열 클럽 황주 | 2 | 0 | 오 마이 갓 | RYL | RYL | X |
'''준결승전'''
SK 텔레콤 T1 K는 나진 블랙 소드를 상대로 3:2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하였다. 1세트와 3세트는 나진 블랙 소드가 가져갔으나, 2, 4, 5세트를 SK 텔레콤 T1 K가 승리하였다. 경기는 2013년 9월 27일에 진행되었다.
로열 클럽은 프나틱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하였다. 1, 2, 4세트를 로열 클럽이 승리하였고, 3세트는 프나틱이 가져갔다. 경기는 2013년 9월 28일에 진행되었다.
'''결승전'''
SK 텔레콤 T1 K가 로열 클럽을 3:0으로 완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페이커' 이상혁은 뛰어난 활약으로 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세계 최고의 미드 라이너로 자리매김했다. 결승전은 2013년 10월 4일에 진행되었으며, SK 텔레콤 T1 K는 1, 2, 3세트를 모두 승리했다.
6. 1. 8강전
8강전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8개 팀이 8강에 진출했으며, 조별 예선에서 올라온 팀과 자동 진출팀이 대진이 결정되었다. 같은 조에 속했던 팀들은 결승전 전까지 서로 대결하지 않도록 토너먼트 반대편에 배치되었다.9월 23일에는 프나틱()이 클라우드9()을 2:1로, 나진 블랙 소드()가 갬빗 게이밍()을 2:1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특히, 나진 블랙 소드는 갬빗 게이밍을 상대로 명승부를 펼쳤다. 9월 24일에는 SK 텔레콤 T1()이 감마니아 베어스()를 2:0으로, 로열 클럽()이 오 마이 갓()을 2: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대 진 표 | 세트 결과 | 일 정 | |||||
---|---|---|---|---|---|---|---|
결승 토너먼트 직행팀 | 스코어 | 그룹 스테이지 통과팀 | 1세트 | 2세트 | 3세트 | ||
클라우드9 | 1 | 2 | 프나틱 | FNC | C9 | FNC | 2013년 9월 23일 |
나진 블랙 소드 | 2 | 1 | 갬빗 게이밍 | GMB | NJS | NJS | |
감마니아 베어스 | 0 | 2 | SK 텔레콤 T1 | SKT | SKT | X | 2013년 9월 24일 |
로열 클럽 황주 | 2 | 0 | 오 마이 갓 | RYL | RYL | X |
6. 2. 준결승전
SK 텔레콤 T1 K는 나진 블랙 소드를 상대로 3:2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하였다. 1세트와 3세트는 나진 블랙 소드가 가져갔으나, 2, 4, 5세트를 SK 텔레콤 T1 K가 승리하였다. 경기는 2013년 9월 27일에 진행되었다.로열 클럽은 프나틱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하였다. 1, 2, 4세트를 로열 클럽이 승리하였고, 3세트는 프나틱이 가져갔다. 경기는 2013년 9월 28일에 진행되었다.
6. 3. 결승전
SK 텔레콤 T1 K가 로열 클럽을 3:0으로 완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페이커' 이상혁은 뛰어난 활약으로 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세계 최고의 미드 라이너로 자리매김했다. 결승전은 2013년 10월 4일에 진행되었으며, SK 텔레콤 T1 K는 1, 2, 3세트를 모두 승리했다.7. 최종 순위 및 상금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의 총 상금은 $2,050,000였다.[3] 우승은 SK텔레콤 T1 K이 차지하여 $1,000,000의 상금을 획득했고,[3] 준우승은 로열 클럽이 $250,000를 획득했다.[3] Fnatic과 나진 블랙 소드는 3-4위를 기록하며 각각 $150,000를 획득했다.[3]
순위 | 상금 (USD) | 지역 | 팀명 | ||
---|---|---|---|---|---|
우승 | $ 1,000,000 | KR | SK텔레콤 T1 K | ||
준우승 | $ 250,000 | CN | 로열 클럽 | ||
준결승에서 탈락 | |||||
3위 | $ 150,000 | KR | 나진 블랙 소드 | ||
EU | Fnatic | ||||
8강전에서 탈락 | |||||
5위 | $ 75,000 | TW/HK/MAC | 가마니아 베어스 | ||
EU | 갬빗 게이밍 | ||||
CN | Oh My God | ||||
NA | 클라우드9 | ||||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 |||||
9위 | $ 45,000 | EU | 레몬독스 | ||
KR | 삼성 오존 | ||||
11위 | $ 30,000 | NA | Team SoloMid | ||
NA | Team Vulcun | ||||
13위 | $ 25,000 | IWC | 게이밍기어.EU | ||
SEA | 미네스키 |
8. 기록
2013년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은 트위치를 통해 3,200만 명 이상이 시청했으며, 최고 동시 시청자 수는 850만 명을 기록했다.[4] 이는 2012년 결승전의 기록(총 시청자 820만 명, 최고 동시 시청자 수 110만 명)을 크게 넘어선 수치이다.[4]
이 기록은 도타 2나 스타크래프트 2 등 다른 경쟁 e스포츠 대회의 기록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e스포츠 역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4] 특히 밸브의 대표적인 도타 2 토너먼트인 The International 3는 2013 롤드컵 결승전 2개월 전에 개최되었으며, 동시 시청자 수 100만 명을 기록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에 미치지 못했다.[4]
850만 명이라는 동시 시청자 수는 펠릭스 바움가르트너가 우주 가장자리에서 뛰어내리는 것을 시청한 "800만 명 이상"의 사람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올 씽즈 D는 바움가르트너의 점프가 "웹 비디오 역사상 가장 큰 행사"였다고 보도했다.
참조
[1]
뉴스
Although TW/HK/MO All-stars team in League of Legends All Star also represented for Southeast Asia region (both regions are organized by Garena), but Playoff spot was decided for team of TW/HK/MO Regional Winner without competition in Garena Premier League because of the championship of Taipei Assassins in last year.
[2]
뉴스
League Of Legends finals a sell out at Staples Center, North American regionals conclude
https://www.polygon.[...]
Polygon (website)
2013-09-02
[3]
웹사이트
S3 World Championship Telah Dimulai!
http://lol.garena.co[...]
Garena
2015-12-21
[4]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eSports finals watched by 32 million people
https://www.theverge[...]
2013-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